총기협회(NRA) 후원금 받은 한인 의원

785

지난 22일 월요일자 LA 중앙일보 1면에는 공화당 소속 한인 의원인 미셸 스틸과 영 김 연방 하원의원이 총기협회의 후원금을 받았다는 제목의 기사가 톱으로 실렸습니다. 그 동안 연방 정부는 물론이고 주 정부나 로컬 정부 차원의 정치 무대에서 한인들이 당선되면 주류사회에서 활동한다는 것 만으로 모든 것을 감싸는 분위기만 강했는데요. 이번처럼 미국 사회의 주요 이슈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이 한인 언론에서 다뤄져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그래서 오늘의 메인 뉴스는 이 기사를 선택했습니다.

기사는 아동 19명을 포함해 21명이 희생된 텍사스주 유밸디 초등학교 총기난사 사건이 21일로 1주기를 맞았고 올해도 총기난사 사건은 끊이질 않고 있다고 시작합니다.
이어 특히 지난달 댈러스에서 발생한 참사로 한인 일가족 3명이 희생돼 아시안을 향한 인종혐오 범죄에 대한 공분이 일었다는 소식, 지난 주말에도 LA 한인타운과 미주리에서 발생한 총기난사 소식을 전합니다.
계속된 참사로 총기 규제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인 연방의원들의 총기규제 관련법안에 대한 입장과 총기옹호단체로부터의 로비 자금 지원 현황을 분석했다고 밝힙니다.
연방하원 법안 표결 자료에 따르면 총기 규제법에 대한 한인 의원들의 찬반 여부는 소속 정당에 따라 극명하게 갈렸습니다. 최근 2년 동안 총기규제 강화 법안들에 공화당 소속 미셸 스틸과 영 김 두 의원은 반대표를 행사한 반면 민주당 소속인 앤디 김, 매릴린 스트릭랜드 의원은 찬성표를 던져 대조됐습니다.
거의 매 회기(2년)마다 다수의 총기 규제 법안과 결의안이 하원에 제출되고 있는데, 최근 표결을 거친 살상무기 금지법(HR 1808) 역시 공화당 소속 두 의원은 반대했고, 민주당 출신 두 의원은 찬성했습니다.
지난해 6월 117기 의회에서 양당이 공동 발의한 ‘커뮤니티 안전법(S 2938)’도 같은 결과였습니다. 총기 판매를 억제하자는 취지의 ‘총기 구매자 신분조사 강화 법안(HR 8)’의 최종 투표에서도 역시 민주당과 공화당의 당론이 찬반 표결을 결정했습니다.
양당 의원들의 이런 대조된 표결에 영향을 미친 것은 가장 가깝게는 전미총기협회(NRA)의 로비와 이에 따른 일관된 당론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NRA는 총기 판매와 소지의 법적 기반이 되는 연방 수정헌법 2조 수호를 통해 총기 판매와 보급에 유리하도록 입법과 행정에 로비 활동을 해오고 있는 단체인데요.
정치인들의 정치자금 거래 내역을 공개하는 비영리단체 ‘오픈시크릿(Open Secret)’의 공개 자료와 NRA의 자체 자료에 따르면 영 김(가주 40지구) 의원은 총 1만8636달러의 기부금을 수령했습니다. 미셸 스틸(가주 45지구) 의원은 총 2만1983달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민주당 출신인 앤디 김(뉴저지 3지구) 의원은 기부금을 전혀 받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NRA측은 그의 낙선을 주도한 후보 측에 2만2852달러의 후원금을 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매릴린 스트릭랜드(워싱턴 10지구) 의원도 NRA 기부금을 받지 않았습니다.
연방 의회의 입법 표결 과정에 익숙한 한 단체 인사는 “현실적으로 소수계 피해와 총기 규제라는 연관성이 소수계 출신 의원들의 표결에 영향을 주기는 힘들다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며 “하지만 댈러스 사건처럼 저항력이 없는 무고한 한인 피해자들이 계속 나온다면 한인의원들도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상 신문에 난 기사 전문을 문어체로 전했는데요.
이 기사를 보면서 한인 의원들이 어떤 분야의 입법 활동을 하고, 어디서 후원금을 받고 어떤 이슈에 찬성과 반대를 하는 지 자세히 알 수 있다는 점은 한인 커뮤니티가 신뢰를 바탕으로 이들을 지지하고 후원하는데 더 힘을 보탤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 하나는 한인 언론의 역할이 더 이상 막무가내식 국뽕(?) 수준을 벗어나 한 단계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무조건적으로 한인 정치인을 보듬고 후원하는 것만이 한인사회를 위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겁니다. 한인 정치인이 한인 사회를 위해서, 또 더 나아가 한국에게도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정치활동을 해주면 좋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렇게 활동할 수 있는 타인종 후보를 눈여겨보고 선택할 수 있는 여유나 공간도 우리 한인사회가 항상 준비해둬야 할 것 같습니다.

기사보기